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교사, 일반 공무원, 일반 근로자의 모성보호시간 제도를 비교해 차이점과 신청 방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 빠르게 비교표와 신청서 예시를 보시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.

     

     

    👩‍🍼 모성보호시간이란?

    임신 중인 근로자의 건강과 태아 보호를 위해 하루 근무시간을 단축해 주는 제도입니다. 일반 근로자는 근로기준법 제74조, 일반 공무원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·지방공무원 복무규정, 교사는 교육공무원 복무규정에 근거해 운영됩니다.

    📊 3자 비교표

    구분 일반 근로자 일반 공무원 교사(교육공무원)
   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제74조 국가/지방공무원 복무규정 교육공무원 복무규정 제13조의2
    대상 임신한 모든 여성 근로자 임신한 모든 공무원 임신한 모든 유·초·중·고 교원 및 교육전문직
    단축 시간 임신 12주 이내·36주 이후: 1일 2시간 / 그 외: 1일 1시간 임신 전 기간 1일 2시간 임신 전 기간 1일 2시간
    급여 전액 유급 전액 유급 전액 유급
    운영 방식 사업주 승인 후 근로시간 조정 부서장 승인 후 근무표 조정 학교장 승인 후 수업·담임 업무 조정
    업무 조정 야근·외근 최소화 회의·외근·야근 면제 가능 수업시수 감경, 담임업무 변경, 대체교사 배정 가능
    대체 인력 필수 아님 필수 아님 대체강사 투입 가능(교육청 예산 지원)
    신청 절차 진단서 + 신청서 → 사업주 승인 진단서 + 신청서 → 부서장 승인 진단서 + 신청서 → 학교장 승인 → 교육청 보고

    검진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🔗 같이 보면 좋은 글

     

    육아 휴직 복지정책 살펴보기 #1

    육아휴직 급여신청 총정리 👆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총정리 👆 육아 복지 정책 총정리 👆

    third.free-insight.com

     

     

    임신출산 복지정책 둘러보기 #1

    임신 검진 동행 휴가 총정리 👆 예비 아빠 복지정책 총정리 👆 임산부 진료시간 보장제도 정리 👆

    third.free-insight.com

    ✅ 마무리 멘트

    모성보호시간은 근로형태와 직종에 따라 적용 기준이 다르지만, 모두 임신기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

    마련된 중요한 권리입니다. 자신의 직종 규정을 정확히 확인하고,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. 🌷

    임신
    임신